재:료 기:법(Jae:Lyo-Gi:Beob), website(https://jaelyo-gibeob.website/), 2022
‘Jae:Lyo-Gi:Beob’ is a web archive that explores the possibility and value of art work by itself by giving a new unique identity to the material/technical data of the Seoul Museum of Art.
As unstructured data, material/technical information did not function as a search or keyword (as key data) in the collection list search window, and thus is difficult to utilize and analyze. Compared to the title of the work of art, information such as writers, and years, material/technical data that are not refined and catalogued seem to be a unique combination of words with different identities in themselves. Therefore, these material/technical information, consisting of similar and different words, was converted into AI-generated images, giving each material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a unique image identity.
In a digital world where data can only be useful if it functions as valuable information, information on artwork can also be data, but unstructured data that is not refined may be considered garbage data. However, when incidental data that feels useless has its own identity, we will be able to value the existence of this data more independently and valuable.
‘재:료 기:법’ 은 서울시립미술관의 재료/기법 데이터에 새로 고유한 정체성을 부여하여 재료/기법 정보의 그 자체로 예술 작업의 가능성과 가치를 탐구하는 웹 아카이브이다.
비정형화된 데이터로서 재료/기법 정보는 소장품 목록 검색 창에서 검색이나 키워드로써의(key data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며, 따라서 활용 및 분석되기 어려운 데이터였다. 예술 작업의 제목이나 작가, 연도 등의 정보에 비해 정제되지 않고 목록화되지 않은 재료/기법 데이터는 그 자체로 각기 다른 정체성을 지닌 독특한 낱말의 조합처럼 보이기도 하다. 따라서 비슷하고도 각기 다른 단어들로 이루어진 이 재료/기법 정보들을 AI가 생성한 이미지로 변환하여 각 재료와 기법 정보에 고유한 이미지 정체성을 부여하였다.
데이터가 가치 있는 정보로서 기능해야만 유용할 수 있는 디지털 세상에서 예술작품의 정보 역시 데이터가 되지만 정제되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들은 자칫 가비지 데이터(garbage data)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나 쓸모 없게 느껴지는 부수적인 데이터가 고유의 정체성을 가지게 될 때, 우리는 이 데이터의 존재를 좀 더 주체적으로, 또 가치 있게 여길 수 있을 것이다.
Screen captured from website Jae:Lyo-Gi:Beob
This project is commissioned by 'Semacoral', Seoul Museum of Art.
- Semacoral website, Seoul Museum of Art, Seoul, S.Korea, 29.Aug.2022